SQLite 명령 줄 인터페이스는 표 형식으로 결과를 출력하는 여러 옵션을 제공합니다. 이를 설정하는 데는 .mode 명령을 사용합니다. 원하는 출력 형식 뒤에 .mode 을 입력하면 됩니다. 다음은 SQLite에서 사용 가능한 다양한 표 형식 모드의 예입니다. Column Mode 열 출력 모드는 자동으로 가장 긴 출력 행을 포함하도록 열을 확장하고, 이전에 설정되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header"를 켭니다. column mode 설정하기: .mode column 쿼리 실행해 보기: SELECT * FROM USER; 결과: name old address -------- --- ------- mingyu 27 seoul seungwan 26 jeju myeongho 27 china dogyeom ..

키워드를 식별자로 사용하는 방법 'keyword' "keyword" [keyword] `keyword` 키워드를 테이블명이나 데이터베이스명 등에는 사용하는것을 가급적 피하고, 어떤 이유로 키워드를 식별자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위의 4가지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한다. 따옴표(’)로 키워드를 둘러싸면 문자열 값으로 처리된다. 주석 작성 SQL문에서 어떤 의견이나 설명을 남기고 싶은 경우 주석을 추가하려는 경우에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 주석 /* 주석 */ 주석이 작성되어도 SQL문을 실행할 때 무시되므로 실행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주석 형식으로 주석을 작성한 경우 --부터 행 마지막까지 작성된 문자열은 주석이 된다. /* 주석 */ 과 같은 형식으로 주석을 작성하면 /*에서 */까지 작성된..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출처는 모두 이 책에 있습니다. 전체 내용을 정리한 것이 아니니 꼭 책을 사서 봐 주세요. https://www.gilbut.co.kr/book/view?bookcode=BN002961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 요구사항 분석과 설계 인프라 구축, 설계가 먼저다! www.gilbut.co.kr 인프라 구축 흐름 1: 각 단계 흐름 — 25페이지 시스템 개발 모델의 종류 폭포수 모델 프로토타입 모델 애자일 개발 모델 이 책에서는 지금까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해 온 시스템 개발 모델인 ‘폭포수 모델’을 기반으로 인프라 서례와 관련한 내용을 살펴볼 것이다. 폭포수 모델은 일곱 단계를 순서대로 진행해 나간다. 각 단계 개요는 다음과 같다. 1️⃣ 기획 단계 기..

1. 터틀 임포트 해 오기 import turtle 혹은 밑처럼 임포트 해 온다면 사용할 때마다 앞에 turtle를 붙일 필요가 없다. from turtle import * 터틀을 임포트 행 온다. import turtle as t as를 붙여서 쓰면 ~로 부르겠다. 라는 의미이다. 밑에서는 turtle을 t로 줄여서 쓸 수 있다. 2. 터틀 객체 생성하기 tim = turtle.Turtle() 터틀을 사용할 객체를 가져와 준다. 나는 tim이라는 터틀을 만들 것이다. 3. 터틀 모양 바꾸기 turtle.shape라는 파라메터를 사용한다. 터틀은 여러가지 모양이 있다. “arrow”, “turtle”, “circle”, “square”, “triangle”, “classic” 적용방법 tim.shape(..

데이터 딕셔너리 PassengerId: 번호 Survived : 생존=1, 죽음=0 pclass : 승객 등급. 1등급=1, 2등급=2, 3등급=3 name: 이름 sex: 성별 sibsp : 함께 탑승한 형제 또는 배우자 수 parch : 함께 탑승한 부모 또는 자녀 수 ticket : 티켓 번호 fare: 요금 cabin : 선실 번호 embarked : 탑승장소 S=Southhampton, C=Cherbourg, Q=Queenstown (영국 Southhampthon -> 프랑스 Cherbourg -> 아일랜드 Queenstown(현 코브)) 자료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하다. https://www.kaggle.com/datasets/pavlofesenko/titanic-extended Titan..